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일자리 327만개 사라진다” 충격 보고서…전문직 절반 ‘이것’이 대체한다는데

 

 

산업연구원 AI시대 일자리 보고서
196만개 일자리는 전문직
금융업은 전문직소멸비율 99%
펀드매니저, 애널리스트 위협

 
 
사진 확대

 

인공지능(AI) 도입으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일자리가 327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전체 일자리의 13.1%가 AI로 대체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13일 산업연구원이 발간한 ‘AI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 93만개, 건설업 51민개,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46만개, 정보통신업 41만개 등의 순으로 AI 도입에 따라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됐다. 제조업 중에서는 전자부품제조업과 전기장비제조업에서 일자리가 각각 19만개와 11만개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2022년 일자리 통계와 AI 노출지수로 추정한 결과다.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일자리는 전문직이다. 소멸 가능성이 높은 일자리 327만개 중에서 193만개로 59.9%에 달한다.

 

송단비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AI의 노동 대체 양상은 과거 로봇이 생산직 일자리를 대체한 것과 매우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특히 금융업에서는 일자리 소멸 위험군의 99.1%가 경영·금융전문가 직종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게 펀드매니저와 애널리스트다. 실제로 인간 펀드 매니저 역할을 AI를 접목한 로보어드바이저가 대신하는 경우가 최근 부쩍 늘어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인간 펀드매니저와 달리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민순홍 부연구위원은 “AI가 고학력·고임금 일자리인 전문가 직종까지 다수의 노동력을 대체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 미래 일자리 소멸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동시에 AI 활용으로 생산성을 높여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고용 규모 자체가 확대되도록 생산성 효과가 높은 섹터 중심으로 AI 도입을 촉진하는 인센티브 제공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출처 : 매일경제 > 

:
Posted by sukji

 

 

산업 반도체 등 집중 심각... 경쟁력 큰 산업 육성 필요

 

 

5개 산업 비중이 63.1%
주요산업 미중일과 겹쳐... 미래 산업의 경쟁력 높여야

 

 

전경련 제공

 

 

한국 산업이 미·중·일 등 주요국과 경합이 치열한 하드웨어와 반도체 등 5개 산업군에 집중돼 있어 헬스케어 등 경쟁력이 큰 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이 13일 발표한 주요국 산업별 시가총액 비중 분석'에 따르면 작년 기준 국내 상장기업 산업별 시총 점유율은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가 23.7%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자본재(15.2%) ▲소재(9.8%) ▲제약·생명공학·생명과학(8.4%)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6.0%) 등이 뒤를 이었다. 이상 5개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산업의 절반이 넘는 63.1%에 달했다.

한국은 주요 산업에서 중국, G5(미국·영국·독일·프랑스·일본) 등 다른 국가와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한국은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4.02), 자동차 및 부품(2.09), 소재(1.92), 자본재(1.77), 반도체 및 반도체장비(1.29),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1.15), 제약·생명공학·생명과학(1.06) 등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은 시가총액 분포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한 '현시비교우위지수'(RCA) 수치를 통해 도출됐다. RCA는 그 수치가 1보다 크면 해당 산업의 글로벌 시장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국가별 산업군 시가총액 비중 분포의 유기성을 계량화해 장래 업종 경합의 수준을 조사한 결과, 한국의 산업별 비중 분포는 미국(0.495), 중국(0.296), 일본(0.289) 순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CA 수치상으로도 미국, 중국, 일본은 한국과 각각 4개 산업군에서 비교우위가 겹쳤다. 특히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 산업군은 미국·일본에서, 자동차 및 자본재, 소재 산업군은 일본과 중국에서, 반도체 산업군은 미국과 중국에서 공통적으로 비교우위 산업으로 분류됐다.

금융업(은행·보험)·에너지·부동산 관리 및 개발 등 비교 열위가 큰 산업으로 분류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균형 있는 산업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반도체 등 경쟁력 우위 산업에 대한 과감한 R&D(연구개발) 세액공제 지원과 동시에 경쟁력 열위 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 규제 혁신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 출처 : 중도일보  >

:
Posted by suk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