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24. 3. 26. 09:36

TMI : 정보가 너무 많아서 추천도서/추천도서2024. 3. 26. 09:36

 

 

 

 

TMI : 정보가 너무 많아서 / 캐스 R. 선스타인 

025.524 S958tKㄱ  인문과학열람실(3층)

 

 

책 소개

 

아는 것은 힘이지만 무지는 축복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행동 과학자이자 오바마와 바이든 행정부에서 정책 고문으로 일한 캐스 R. 선스타인의 〈TMI〉에 관한 책이 나왔다. 정부가 언제 기업들에 정보 공개를 요구하고, 언제 요구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다룬 이 필독서는 엄격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흥미로운 일화를 이끌어 낸다. 그런데 얼마나 많아야 너무 많은 정보, 즉 TMI일까? 영화관에 들어가면서 구매한 커다란 팝콘 한 통에 얼마나 많은 칼로리가 들었는지 우리가 굳이 알 필요가 있을까? 자신이 특정한 병에 취약한 유전적 소인을 가졌는지 알고 싶을까? 파리에 있지도 않은데 다음 주 파리 날씨를 안다고 해서 우리에게 유용할까? 『TMI: 정보가 너무 많아서』에서 캐스 R. 선스타인은 정보가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정책 입안자들은 〈알 권리〉를 강조하지만 선스타인은 다른 관점에서 인간의 복지 그 자체에, 그리고 어떤 정보가 인간의 복지에 기여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부는 일반적인 〈알 권리〉 때문이 아니라 문제의 정보가 사람들의 삶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때 기업, 고용주, 병원 등에 정보 공개를 요구해야 한다. 선스타인은 경고 문구와 의무 표시에 들어 있는 정보가 혼란스럽거나 무관해서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사람들은 정보가 자신을 우울하게 만들 거라고 생각되는 경우에 정보를 회피한다(자신을 행복하게 만들 거라고 생각되는 경우에 정보를 추구한다). 우리가 정보를 회피하거나 추구하는 데는 커다란 비균질성이 존재한다. 우리 중 누군가는 팝콘의 칼로리 수치를 알고 싶어 하는 반면에, 누군가는 알고 싶어 하지 않는다. 물론 도로의 정지 표지판이나 처방 약에 표시되는 경고 문구, 결제 기한 알림 등은 없는 것보다 있는 편이 우리에게 도움이 된다고 선스타인은 말한다. 그런데도 때로는 적을수록 더 좋은 것도 사실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정보가 실제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어떤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이다.

 

출판사 서평

 

때로는 정보를 모르는 편이 더 도움이 된다

정부는 언제 기업과 고용주, 병원을 비롯한 누군가에게 정보 공개를 요구해야 하는가? 이 질문은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고용인이 피고용인에게, 교육 기관이 학생들에게, 기업이 투자자에게 무엇을 말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와 직결된다. 질문에 대한 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것들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다. 선스타인은 사람들이 왜 정보를 원하면서도 정보에 무관심하거나, 알고 싶어 하지 않는지에 관한 일반적인 개요부터 살펴본다. 그리고 각종 경고 문구와 의무 표시에 집중하여 정보 공개가 과연 인간의 복지를 증진하는지와 관련해서 더 파고든다. 정부는 정보를 이용해서 사람들의 삶을 개선할 수 있으며, 각종 프로그램을 제대로 작동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정보를 획득하려는 과정에서 종종 대량의 슬러지가 발생하기도 한다(연간 97억 8천만 시간에 달하는 서류 작업 부담은 많아도 너무 많다). 이와 별개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때문에 제기되는 문제도 다룬다. 그리고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사람들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지, 아니면 불행하게 만드는지를 질문한다. 이 짧은 책에는 많은 나무가 존재하지만, 숲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정보는 어떤 면에서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지만 때로는 모르는 편이 더 도움 될 때도 있다. 미래를 위해서는 정보가 실제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어떤 효과를 불러오고 있는지를 더욱 명확히 알 필요가 있다. 이런 질문과 각각의 답변에 끈질기게 집중할 때 우리는 더 행복하고, 더 자유롭고, 더 나은 삶을, 더 오래도록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1장 아는 것은 힘이지만 무지는 축복이다
2장 복지의 측정
3장 심리학: 조지 로웬스타인, 러셀 골먼과 공동 작업
4장 잘못된 추론: 오런 바길, 데이비드 슈케이드와 공동 작업
5장 윤리적인 문제: 에릭 포스너와 공동 작업
6장 페이스북에 대한 평가
7장 슬러지
맺음말
감사의 말

 

< 내용 출처 : 교보문고 >

:
Posted by suk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