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한국대학, 세계와 겨룰 만한가? [김상균의 메타버스]

 

 

                                                                                   게티이미지뱅크

김상균 | 인지과학자·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

 

 

한국대학교. 드라마에서 가공의 대학교를 지칭할 때 자주 쓰는 이름이다. 이글에서는 그저 우리나라의 모든 대학교를 한국대학교라고 칭하겠다.

대학, 성인 교육 시장을 겨누고 활약하는 무크 플랫폼이 여럿 있다. 무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한 주제의 교육 콘텐츠를 무료 또는 저가로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세계 3대 무크로 코세라, 에드엑스, 유데미를 거론한다. 코세라 강좌를 수강하는 한국인은 70만명이 넘는다. 전 세계 가입자는 1억명을 넘어섰다. 그런 코세라가 강좌에 자동번역 서비스를 넣겠다고 발표했다. 물론, 지금도 강좌 하나를 여러 나라 언어로 자막을 통해 볼 수 있으나, 인공지능 투자를 확대해서 그 질을 획기적으로 높인다는 선언이다. 장기적으로는 음성, 입 모양까지 인공지능을 통해 다양한 언어에 맞게 바꿔준다는 계획이다. 미국 대학교수가 영어로 전공수업을 하는데 마치 한국인 교수가 수업하듯이 우리나라 말로 들리고, 입 모양도 맞춰준다는 접근이다. 필자도 코세라 강좌를 가끔 듣는 입장이어서 수강생 입장에서는 참 반가운 소식이다.

 

사실 코세라의 이런 전략은 그리 새롭지도 않다. 아마존, 테뮤, 넷플릭스 등 세계시장에서 활약하는 유통·콘텐츠 기업의 전략을 살펴보면, 본질은 코세라와 비슷하다. 모든 제품, 서비스, 콘텐츠에서 벽을 무너뜨리고 있다. 국내 방송사는 미국기업인 넷플릭스에게, 국내 유통사는 중국기업인 테뮤에게 점점 더 많은 시장을 내어주고 있다. 연장선에서 코세라는 교육에서 국가, 언어, 제도의 벽을 허물려 한다.

 

이렇게 벽이 무너지는 상황에서 대학의 이름이 교육 콘텐츠나 서비스의 품질, 지속성을 보장해 주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리라 예상한다. 이제껏 우리 사회에서 대학은 그 이름을 놓고, 졸업생의 성취 수준을 보장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이런 역할, 기능에 이미 금이 가기 시작했다. 사회가 개인의 학습, 성취 경로를 세세하게 추적하고 정밀하게 측정하며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기 때문이다.

 

필자가 협업해 온 모기업의 상황이다. 과거에는 주로 명문대 졸업생 위주로 신입 사원을 뽑았다. 어느 순간부터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매우 낮은 대학의 졸업생들도 회사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변화의 배경은 단순하다. 예전에는 누가 얼마나 잘하는지 판단이 어려워서 대학과 학과 명칭을 높은 비중으로 살펴봤다. 그런데 기존 직원들의 누적된 업무 기록, 신입 사원이 수습 기간 중 보인 성과를 인공지능으로 정밀하게 분석하기 시작했다. 사회적 후광이 아니라 기업의 눈으로 직접 판단한 데이터를 믿기 시작했다. 대학의 이름이 가진 후광이 빛을 잃어가는 단면이다.

 

이제 한국대학교는 교육 콘텐츠가 품은 본질 가치를 놓고 넓고도 혹독한 세상을 마주해야 한다. 전 세계 대학, 무크 플랫폼의 높은 파고와 맞붙어야 한다. 한국대학교는 인공지능이 벽을 허무는 시대, 눈앞에 닥친 세계화 시대를 잘 준비하고 있는가? 집단주의 시대의 관습에서 벗어나지 못한 대학 시스템, 여전히 구호뿐인 혁신, 외국 대학교수가 집필한 교재를 우리말로 옮겨서 설명하기에 급급한 수업, 학습자의 사고력과 도전 의식을 자극하지 못하는 교수법과 수업환경. 이런 것들을 짊어지고, 그 높은 파고를 넘어설 수 있을지, 마음이 무겁다.

 

 

< 출처 : 한겨레신문 >

:
Posted by sukji

 

성균관대 2년연속 아시아 톱10…세종대는 24계단 `껑충`

 

9위 서울대 올해도 국내 1위
KAIST 산학협력은 최상위급

국내대학 12곳 `톱100` 진입
순위가 오른 학교는 고작 4곳
韓대학 `국제평판` 유독 약세

 

 

성균관대 삼성학술정보관에서 학생들이 토론 학습을 하고 있다. 성균관대는 올해 `THE 아시아 대학 순위`에서 2년 연속으로 10위에 올랐다. [사진 제공 = 성균관대학교]

 

영국에 있는 세계적인 대학평가기관 THE가 3일 공개한 아시아 대학 평가 결과 한국 대학은 전반적으로 하향 조정된 성적을 나타냈다. 작년 대비 올해 순위가 오른 국내 대학은 4곳에 불과했다. 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린 대학 명단에 크게 차이가 없는 등 국내 대학 전반의 경쟁력이 개선되지 않았다는 평가다. 이는 평가지표 가운데 유독 국제화 점수가 낮은 게 국내 대학의 순위를 낮춘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국내 대학 중 순위가 가장 높은 서울대만 하더라도 국제화 점수는 35.8점에 불과했다. 그나마 올해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준 대학은 성균관대다. 성균관대는 지난해 처음으로 아시아 톱10에 이름을 올린 데 이어 올해 평가에서 총점 67점을 받으며 2년 연속 아시아 대학 순위 10위를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성균관대는 5개 평가 항목 중 4개가 국내 5위권에 들면서 국내 사립대 중 1위를 기록했다. 올해 세부 평가 항목에서 교육 여건 59.5점, 연구 66.5점, 논문 피인용도 70.3점, 산학협력 수익 97.3점, 국제 평판 51.1점을 받았다. 특히 교육 여건, 연구, 논문 피인용도, 산학협력 수익 부문이 국내 5위권에 들면서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고 있다는 평을 받았다. 또 성균관대는 지난해보다 연구 실적과 국제화 점수도 2.3점씩 올랐다. 2019년 성균관대의 국제논문 실적은 5655편에 달한다. 2010년 2782편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아시아 톱15 안에 들어간 KAIST는 특히 산학협력 수익 분야에서 만점에 가까운 성적을 냈다. KAIST는 100점을 기록한 칭화대, 저장대보다 0.01점 모자란 99.9점을 받았다.

KAIST는 지난해 구글, LG전자, 한국전력과 연구 및 기술 개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국내 대학 중 가장 활발하게 산학협력에 참여하고 있다. 올해 1월에는 기상청과 인공지능(AI) 기상예보 프로그램 개발 전문인력 양성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경희대도 지난해(31위)보다 두 계단 오르면서 주목할 만한 성적을 냈다. 올해 29위에 오른 경희대는 (학교 자체 기준) 역대 최고 순위를 달성했다. 경희대는 지난해보다 논문 피인용도 부문과 연구 부문에서 각각 6.1점, 2.4점 올랐다. 특히 경희대는 국내 대학 중 국제 평판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경희대는 학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외 석학 초빙과 우수한 신진 학자 충원 정책이 대표적이다. 이에 따라 전임교원도 2006년 1113명에서 지난해 1434명으로 300명 이상 늘었다. 국내 대학 최초로 정년연장제도를 도입해 연령 제한이 없는 학문 활동을 장려하고 있다.

세종대는 국내 대학 중에서 올해 순위가 가장 많이 오른 대학이다. 세종대는 지난해 102위에서 한 번에 24계단을 올라 올해 78위에 자리했다. 세종대는 논문 피인용도 부문에서 75.4점을 받아 국내 2위에 오르면서 주목할 만한 성적을 내기도 했다.

세종대는 교수 채용 단계에서 지원 교수의 연구 실적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했다. 세종대 관계자는 "논문 업적이나 연구 과제 등을 중심으로 교수를 채용한다"며 "이러한 노력의 결실이 여러 분야 평가에서 가시적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논문의 질을 평가지표로 하는 네덜란드 레이던대학의 `레이던 랭킹`에서 세종대는 2017년과 2018년 연속으로 연구중심대학을 제외한 일반대학 중 국내 1위를 달성했다.

UNIST는 작년보다 한 단계 떨어진 전체 23위에 머물렀지만, 논문 피인용도 부문에선 91.3점을 받으며 해당 지표 기준 국내 1위를 기록했다. 학교 측은 "UNIST는 학문 분야별로 질적 평가 기준을 마련했다"며 "논문 양보다 논문 품질 기준(상위 7% 저널)에 맞는 연구성과를 발표해야 정년보장심사를 통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평가에서 상위 5% 안에 들었던 고려대(20위)와 연세대(서울캠퍼스·22위)는 산학협력 수익에서 모두 90점이 넘는 고득점을 받으며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 출처 : 매일경제 >

:
Posted by suk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