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2

« 2024/1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24. 8. 27. 09:37

우리가 서점에 가는 이유 추천도서/컬렉션2024. 8. 27. 09:37

 

 

 

우리가 서점에 가는 이유

 

서점은 아름답고, 아름다운 도시에는 서점이 존재합니다. 서점에서는 저자와 독자, 책과 사람의 만남이 이뤄집니다. 그 만남은 경이롭죠. 서점, 서점인에 관한 매혹적인 이야기를 담은 책을 소개합니다.

 

01. 옥스퍼드 출판의 미래 : 세계의 전문가들이 논하는 출판의 여러 갈래 / 앵거스 필립스  / 정리 중

02. 기묘한 골동품 서점 / 올리버 다크셔  / 381.45002 D219oKㅂ  사회과학열람실(3층)

03.  유럽 책방 문화 탐구 : 책세상 입문 31년차 출판평론가의 유럽 책방 문화 관찰기 / 한미화

/ 381.45002 한39ㅇ  사회과학열람실(3층)

04. 도쿄를 걷다, 서점을 읽다 : B급 디자이너의 눈으로 읽은 도쿄 서점 이야기 / 구입 중

05. 귀한 서점에 누추하신 분이 : 세상 끝 서점을 찾는 일곱 유형의 사람들 / 숀 비텔

/ 381.45002 B998sKㅇ  사회과학열람실(3층)

06. 책 파는 법 : 온라인 서점에서 뭐든 다하는 사람의 기쁨과 슬픔 / 조선영 / 381.45002 조53ㅊ 

사회과학열람실(3층)

07. 어디에나 있는 서점 어디에도 없는 서점 : 대형 서점 부럽지 않은 경주의 동네 책방 이야기

/ 양상규 / 381.45002 양51ㅇ  사회과학열람실(3층)

08. 동네책방 생존 탐구 :  출판평론가 한미화의 동네책방 어제오늘 관찰기+지속가능 염원기

/ 한미화 / 381.45002 한39ㄷ  사회과학열람실(3층)

09. 미래의 서점 :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미래를 만드는 것이다 / 미래예상도 취재팀

/ 381.45002 제69ㅎKㅈ  사회과학열람실(3층)

10. 책의 미래를 찾는 여행, 타이베이 : 대만의 밀레니얼 세대가 이끄는 서점과 동아시아 출판의 미래

/ 우치누마 신타로  / 381.45002 내55ㅂKㅇ  사회과학열람실(3층)

11. 시간은 없고, 잘하고는 싶고 : 10년 차 서점인의 일상 균형 에세이 / 김성광 / 811.4 김53ㅅ 

인문과학열람실(3층)

12. 김언호의 세계서점기행 : 서점은 도시의 어둠을 밝히는 한밤의 별빛이다 / 구입 중

13. 서점의 일 / 노다인 / 381.45002 노221ㅅ  사회과학열람실(3층)

14. 서점의 일생 : 책 파는 일의 기쁨과 슬픔, 즐거움과 괴로움에 관하여 / 야마시타 겐지 

/ 381.45002 산91ㄱKㄱ  사회과학열람실(3층) 

15.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서점 : ‘아마존’의 도시에서 동네 서점이 사는 법 / 이현주

/ 381.45002이94ㅅ 사회과학열람실(3층)

16. 시간을 파는 서점 : 독서생활자의 특별한 유럽 서점 순례 / 신경미 / 381.45002 신14ㅅ 

사회과학열람실(3층)

17. 책의 미래를 찾는 여행, 서울 : 일본의 북 디렉터가 본 서울의 서점 이야기 / 우치누마 신타로

/ 381.45002 내55ㅂKㄱ  사회과학열람실(3층)

18. 서점은 죽지 않는다 :  종이책의 미래를 짊어진 서점 장인들의 분투기 / 이시바시 다케후미

/ 381.45002 석16ㅂKㅂ2  사회과학열람실(3층)

 

 

   

 

 

< 출처 : 예스24 >

:
Posted by sukji

 

 

유튜브 보는 게 독서가 될 수 없는 이유

 

 

 

 

요즘 골목책방은 ‘인스타 성지(인스타그램에 올릴 만한 사진촬영 명소)’가 된 곳이 많지만 책방 주인들의 표정이 밝지만은 않다. 손님들이 책은 안 사고 근사하게 진열된 책들을 배경으로 사진만 찍고 가는 경우가 많아서다. 책방의 감성적이고 지적인 분위기를 소비하는 데 그치는 것이다. 또 책 판매는 줄어드는 반면 인테리어 소품용 모형 책은 잘 팔린다고 한다. 책은 안 읽어도 책이 풍기는 지성미는 갖추고 싶다는 게 요즘 세태다.

한 해 동안 책을 단 한 권이라도 읽은 성인 비율(종합독서율)은 지난해 기준 43%다. 정부의 독서실태조사가 처음 시작된 1994년 이후 최저치다. 30년 전 이 비율은 86%였다. 조사 대상자들이 책을 안 읽는 이유는 주로 두 가지다. 일하느라 시간이 없고, 유튜브 등 책 이외에 다른 매체를 이용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10, 20대 사이에선 유튜브 같은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도 독서의 일종이란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독서 인구는 줄지만 유튜브로 책을 소개하는 ‘북튜브’ 채널은 인기다. 가성비 높은 지식 소비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볼거리는 늘었는데 시간이 한정돼 있다면 한 권에 10시간 이상 걸리는 독서보다 10분∼1시간 이내로 핵심을 추려주는 영상에 사람들이 몰릴 법도 하다. 책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이슈와 정보를 정리해주는 지식 콘텐츠가 많아 유튜브로 세상을 배운다는 사람들도 있지만, 독서만큼 도움이 될 가능성은 극히 낮다.

 

유튜브를 볼 때와 독서를 할 때 우리 뇌는 다르게 반응한다. 영상은 완제품 형태로 눈을 거쳐 뇌리에 바로 맺힌다. 뇌가 일할 필요가 없다. 반면 책은 뇌를 바쁘게 만든다. 글은 설명과 묘사, 정보를 담은 원재료일 뿐이고 한 문장 한 문장이 머릿속 지식과 경험, 정서와 뒤섞이면서 활발한 시뮬레이션이 펼쳐진다. 책을 읽다 잠시 멈추게 되는 게 이런 작용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영상을 100명이 보면 거의 비슷하게 기억하지만 책 한 권을 100명이 읽으면 각기 다른 100개의 스토리가 생긴다. 스쳐 흘러가는 영상과 달리 책에서 읽은 건 깊이 각인되는 이유는 나만의 맥락이 담겨 저장되기 때문이다.

책 대신 유튜브 보는 습관이 들면 당장은 단순명료하게 가공된 지식을 얻는 듯한 느낌이 들지만 장기적으론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잃게 될 가능성이 높다. 자칫하면 궁금한 주제를 짧고 흥미롭게 만든 영상만 골라 보고, 그마저 메뚜기 뛰듯 띄엄띄엄 보거나 ‘세 줄 요약’에만 익숙한 사람이 될 수 있다. 세상은 갈수록 복잡해지고 단순화할 수 없는 일들이 많은데 영상 제작자가 주관적으로 편집한 지식에 길들여지면 흑백 논리에 잘 휘둘리고, 가짜 정보에 대한 분별력도 떨어지기 쉽다. 독서는 시간이 걸리지만 그 정도 노력을 들여야만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우리에게 준다.

 

 

< 출처 : 동아일보 >

 

:
Posted by sukji

 

 

 

“북한서 펴낸 희귀 장서 알리려 천안에 전시 공간 냈죠”

 

 

한상언영화연구소 한상언 소장

 

 

한상언 소장이 인터뷰 뒤 이기영 소설 원작인 북한 영화 ‘두만강’ 스틸 사진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고 있다. 강성만 선임기자

 

‘책방 노마만리’.

 

충남 천안 서북구 직산읍 마정저수지 옆에 자리한 복합문화공간이다. 1층은 카페, 2층은 전시장, 3층은 영화도서관이다. 한국 영화사연구자이자 한상언영화연구소 소장인 한상언(47)씨가 지난해 5월 문을 열었다. 저수지 풍광에 반해 연고도 없는 지역에 터를 잡았단다.

 

그는 여기서 3개월 단위로 기획전을 하는데 지난 10월부터 내달까지는 천안 출신으로 식민지 시기 프롤레타리아문학의 최고봉으로 불린 이기영(1895~1984)의 문학과 삶을 보여주는 ‘천안 사람 민촌 이기영’ 전을 한다. 1925년 결성한 카프(조선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의 대표작가 민촌은 해방 직후 월북해 1970년대 초까지 북한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20~30년대 이기영의 위상은 이광수 다음이었어요. 카프 최고의 작가였죠. 당시 농민문학을 말할 때 이기영 ‘고향’(1934)이 첫손가락이었어요. 이광수 ‘흙’과 심훈 ‘상록수’와 함께 3대 농민작품이었죠. 민촌 장편 ‘신개지’는 일제 강점기인 1942년에 벌써 윤봉춘(배우 고 윤소정씨 부친) 감독이 영화로 만들었고 해방 후 북한에서도 ‘두만강’과 ‘땅’이라는 민촌 소설이 영화로 나왔어요. 그 시절 민촌만큼 많은 작품을 쓴 사람도 없어요. 민촌은 너무나 많은 이야기를 가진 분이라 앞으로도 전시를 계속할 겁니다.”

 

지난 17일 노마만리에서 만난 한 소장의 말이다.

 

한말에서 식민지 시기까지 한국의 초기 영화산업 연구(2010)로 한양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북한영화 전문가이면서 방대한 북한 문헌을 보유한 고서 수집가이다. 그가 북한 영화와 영화인 연구를 위해 모으기 시작한 1970년대 이전 북한 문헌 컬렉션(약 5천 권)은 기관인 통일부 자료센터와 인하대 도서관에 이은 국내 세 번째 규모로 평가받는다.

 

그는 이 장서를 토대로 해방 후 북한의 번역 출판물 200여 권을 보여주는 책 ‘스탈린 거리의 평양 책방-1960년대 이전 북한의 번역서’(2023)와 문학과 복식까지 다양한 분야의 북한 책 250권을 선보인 ‘평양책방’(2018)을 내기도 했다. ‘친일인명사전’ 영화인 편도 담당한 그는 월북 영화인 시리즈를 기획해 4년 전에 월북 영화인 문예봉과 강홍식, 김태진을 조명하는 책을 각각 냈다. 5년 전에는 개인연구소를 세워 독립연구자로서 출판이나 강연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월북 영화인 시리즈나 국내 1세대 영화평론가 김종원 선생 회고록 ‘시정신과 영화의 길’(2023) 등이 모두 그의 연구소에서 나왔다.

 
 
한 소장이 이기영 글이 실린 북한 ‘로동신문’ 전시물을 가리키고 있다. 강성만 선임기자
 

이미 ‘일인 다역’인데 어떻게 ‘책방 노마만리’까지 냈을까? “제 정체성 중 하나인 고서수집가의 최고 영예는 남들이 안 가진 책을 소장하는 거죠. 여기서 제가 모은 책들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 컸어요.” 노마만리를 기획전 위주로 운영하는 것도 그 때문이란다. “기획전을 하면 계속 책을 바꿀 수 있잖아요. 아이디어를 계속 내어 제가 가진 많은 자료를 보여주고 싶어요.”

 

이번 전시에서도 민촌이 한국전쟁이 나던 1950년에 낸 옛 소련 방문기 ‘쏘련은 인민의 위대한 벗’과 민촌이 청년 시절의 문학공부를 술회한 책 ‘리상과 노력’(한설야 공저, 1958) 등 국내에서 한 소장만 가지고 있는 책을 볼 수 있다. 여기에 고서수집가 박현철씨 장서로 그간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1937년 태양사판 민촌 장편 ‘인간수업’과 김재용 원광대 교수가 내놓은 1927년 단편선 초판 ‘민촌’도 만날 수 있다.

 

“우연히 천안에 자리를 잡을 때부터 민촌 전시를 생각하게 되었다”는 그는 앞으로도 민촌 전시를 이어갈 생각이다. “이번 전시는 민촌 주제로는 국내 두 번째입니다. 15년 전에 아단문고(현 현담문고) 주최로 천안에서 처음 했었죠. 내년은 민촌의 첫 단편 ‘오빠의 비밀편지’가 잡지 ‘개벽’에 실린 지 100년이고 내후년은 민촌이 주축이었던 카프 결성 100년입니다. 이들 주제로도 전시해야죠.”

 

 

북한영화 전문가이자 고서수집가북 영화 공부하며 북한 책 모아개인으로 가장 많은 5천권 수집지난해 천안에 복합문화공간 열어장서 토대로 3개월마다 기획전내달까지 천안출신 작가 이기영전‘소련방문기’ 등 여러 유일본 전시“카프 최고 작가이자 농민문학 최고봉”

 

그가 최근 엮은 ‘스탈린 거리의 평양 책방’에는 시인 백석의 동화 번역서 ‘동화와 이야기’(위딸리 비안끼 저, 1957)와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인 김학철이 번역한 ‘검찰관’(고골 작, 1949) 등 국내 유일본이 여러 권 실렸다.

 

정성일·이효인과 같은 ‘스타 영화평론가’의 길을 따르려 연극영화과에 진학한 그는 어떻게 북한 책을 모으게 되었을까? “2010년 무렵부터 북한 책을 본격적으로 모았어요. 제가 석사 논문으로 해방기 영화운동에 관해 썼는데요. 그 시절 정말 많은 영화인이 등장하는데 1950년 이후 거의 사라져요. 이들이 어떻게 되었는지 알아보면서 북한 영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죠.” 하지만 10여년 전만 해도 70년대 이전 북한 책을 국내에서 구하기 쉽지 않았단다. “일본 국회도서관에서 북한 잡지 ‘조선영화’를 1장에 100엔 주고 복사하곤 했어요. 그때 차라리 원본을 사자는 생각이 들더군요. 중국과 일본 고서점 사이트를 뒤져 대량으로 순차적으로 구매했어요. 처음에는 영화 쪽만 사다 나중에는 다른 분야로 넓혔죠.”

 

고서 구입 재원을 궁금해하니 그는 역시 고서수집가인 형의 도움이 있었다고 했다. “형의 영향으로 2천년대 초부터 저도 조금씩 고서를 모았어요. 그러다 정말 운이 좋아 백암 박은식 선생 저서와 같은 문화재급 책도 갖게 되었죠. 그렇게 모은 귀중본들 일부를 내놓고 북한 책을 샀죠.”

 

 

                                              한 소장이 쓰거나 자신의 소장 자료를 모아 낸 책들.
 

그는 지금 내년 출간 목표로 1954년 전후복구기부터 1973년까지 북한 영화를 정리하는 책을 집필 중이다. 북한 영화에 대해 우리가 혹 잘못 알고 있는 게 있는지, 물었다. “우리는 주로 정치학자들이 북한 영화를 다루면서 정치의 도구로만 보고 또는 맥락 없이 정치적 사건들과 연결해 해석하면서 (북한 영화에 대해) 왜곡이 일어나는 것 같아요.” 그는 “북한에는 정치의 도구로 활용되는 영화도 많지만 그렇지 않은 영화도 있다”며 말을 이었다. “현실에서 소재를 취한 코믹 영화도 많아요. 사회주의 미학에서 웃음을 중요하게 보거든요. ‘사회주의의 미소’라는 말도 있죠. 북에서는 사회주의로 행복한 웃음을 만들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전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일도 경희극(코미디) 발전을 직접 지도했죠.”

 

그의 북한 장서 중엔 1950~60년대 나온 세계 고전 문학도 많이 있다. ‘로미오와 줄리에트’(1962, 김해균 역)도 그중 하나다. “한 탈북자가 북한은 ‘로미오와 줄리엣’도 모르는 사회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요. 사실과 다릅니다. 셰익스피어는 남한과 마찬가지로 북한에서도 상식입니다. 우리와 같이 셰익스피어나 모파상, 안데르센과 같은 작가의 작품을 교양으로 알고 전공으로 배웁니다.

 

”계획을 묻자 그는 장기적으로 한국영화사를 10권으로 정리하고 싶다고 했다. “2018년에 박사 논문을 토대로 ‘조선영화의 탄생’이란 책을 냈는데요. 이게 첫 권인 셈이고 2권은 무성영화 시기가 될 겁니다.”

 
 
< 출처 ; 한겨레 >
:
Posted by sukji

 

책방 구구절절, "10월까지 글쓰기 강좌 무료로 들으러 오세요"

 

▶ 시인·작가들이 운영하는 동네책방 ‘구구절절’ : https://bit.ly/3Lv2ynK

대전 책방 ‘구구절절’서 책 읽으면 ‘RE100 술’이 별책부록 : https://bit.ly/3Awtc9I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책방 구구절절 모습.

 

대전의 작가들이 운영하는 서점인 '책방 구구절절'(대전 중구 테미로 34-1)은 '작가와 함께하는 작은 서점 지원사업' 일환으로 글쓰기강좌, 낭독회, 작가와의 만남 등을 10월까지 무료로 운영한다.

이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작가회의 주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후원하는 작은 서점 지원 사업 공모를 통해 이뤄지게 됐다. 참여하는 서점은 작가 인건비와 공간 대관료, 문학프로그램 운영비 등을 지원받는다.

이에 올해 3월 전국 공모를 통해 모두 17개의 문학 거점서점이 선정됐는데,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대전 대흥동에 있는 '책방 구구절절'이 선정됐다.

'책방 구구절절'은 이번 사업의 전체적인 콘셉트를 "나는 문학이다"라고 정해 시민들과 책방 인근에 있는 원도심 주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시창작 강좌를 비롯해 누구나 자신의 삶을 글로 옮기는 생활글쓰기, 좋은 소설과 시를 함께 읽는 낭독회, 작가와의 만남, 북콘서트 등을 지속적으로 펼칠 예정이다.


함께 파트너로 공동 참여하는 그림책 전문서점 '넉점반'과 월간 토마토 내 작은 서점 '이데'에서도 서점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넉점반'에서는 아동문학 창작과 이야기 만들기를 중심으로 강좌를 운영하고, '이데'에서는 시인과 함께하는 시 감상과 연극을 이해하는 강좌를 열 예정이다.

모든 프로그램의 참가비는 무료이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책방 구구절절'의 상주작가인 김병호 작가는 "이번 작은 서점 지원사업을 통해 시민 누구나 문학과 글쓰기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며 "거의 매주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만큼 동네책방을 찾는 발길이 조금이나마 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책방 구구절절'은 지난 2월 문을 연 신생 서점이다. 지역 작가들이 함께 운영하고 있어 주목을 받았다. 책방을 운영하는 스토리밥 작가협동조합은 2013년 창립해 시인, 소설가, 방송작가, 글쓰기 강사 출판편집자,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된 전문작가 법인으로 꾸준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 출처 : 중도일보 > 

:
Posted by suk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