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AI시대에 우리애 밥벌이는 잘하려나”…걱정된다면 ‘이 능력’ 키워야겠네

 

인지적 능력 임금 증가율 수준 1.6%P 감소
“교육 현장에서 타인과 소통·협업 능력 키워야”

 
 
사진 확대
인공지능(AI) [사진 = 연합뉴스]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라 협동·설득·공감 등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을 갖춘 인력의 임금 상승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존에 임금을 결정짓던 수학적 능력은 자동화 기술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인간이 비교우위를 가진 사회적 능력이 핵심 업무 역량으로 부상한 것이다.

 

10일 한국은행은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 증가’ 보고서를 통해 2008∼2022년 사회적 기술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일자리의 비중은 49%에서 56%로 7%포인트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수학적(인지적) 기술’이 집중된 일자리의 비중도 같은기간 50%에서 55%로 커졌지만, 증가 폭은 사회적 기술 집중 일자리가 더 컸다. 사회적 기술은 협동·설득·공감과 타인의 감정·반응 이해력으로 ‘팀워크’ 능력이다.

 

이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사회적 능력의 여부가 고용 비중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능력과 수학적 능력을 갖춘 인재의 고용 비중은 2008년보다 2022년이 4.7%포인트 크게 늘었다. 사회적 능력이 있지만, 수학적 능력이 없는 경우 같은기간 2.3%포인트 늘어났고, 수학적 능력은 뛰어나지만, 사회적 능력이 없는 경우는 0.6%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둘 다 없는 경우는 고용 비중이 2022년에 2008년보다 7.6%포인트 줄어들었다.

 

한은은 2007∼2020년 약 1만명의 청년 패널에 대한 추적 조사 결과를 활용했다. 사회적 능력이 1단위 높은 인력의 임금은 2007∼2015년 평균보다 4.4% 많았지만, 2016년부터 2020년 사이에는 평균을 5.9% 웃돌았다. 수학적 능력이 1단위 높은 인력의 경우 같은 기간 10.9%에서 9.3%로 오히려 1.6%포인트 낮아졌다.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장은 “AI로 대체할 수 없는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대신 대체할 수 있는 수학적 능력의 중요성은 낮아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교육 현장에서 어린 시절부터 인지적 능력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 소통·협업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을 기를 기회를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 출처 : 매일경제 >

:
Posted by suk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