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영화 ‘소풍’.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뇌졸중 후유증으로 고통받다가 안락사를 선택하는 아버지(‘다 잘된 거야’), 정신을 통제할 힘마저 잃어가는 아버지를 보는 자식의 참담함(‘어느 멋진 아침’) 등 어떻게 삶을 마무리할 것인가라는 주제를 다룬 영화가 늘어나고 있다. 7일 나란히 개봉하는 ‘소풍’과 ‘플랜 75’는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한국과 일본에서 이 주제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잘 보여준다.

노인 버전의 ‘델마와 루이스’라고 부를 만한 강렬한 엔딩이 인상적인 ‘소풍’은 노년을 다룬 한국 영화 가운데 가장 현실적이고 냉정한 질문을 던진다. 팔순을 바라보는 은심(나문희)과 금순(김영옥)은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사돈 사이다. 은심이 일찍 남편을 여의고 애지중지 키운 외아들(류승수)은 잇단 사업 실패 끝에 하나 남은 집문서마저 달라며 매달린다. 은심은 심란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금순을 따라 고향에 내려가 동창 태호(박근형)도 만나고 평온을 되찾는 듯하지만 인생의 마지막 허들을 만난다.

 

은심과 금순, 태호는 사정은 서로 다르지만 모두 마음속 돌덩이 같은 자식 문제를 안고 있다. 어려움을 겪는 자식에게 자신의 병을 털어놓지 못하는 것도 비슷한 처지다. 자식에 대한 책임감과 짐이 되지 않으려는 부모의 마음을 그리면서도 ‘소풍’은 모성애나 부성애로 미화하지 않는다. 또 노년의 작은 위안조차 쉽게 허락하지 않는 육체의 쇠락을 가감 없이 묘사한다. ‘소풍’은 통제를 벗어난 육체와 의지하기 힘든 가족, 요양원에서 맞이하는 생의 마지막 등 한국 사회에서 노년 앞에 겹겹이 쌓인 벽과 막막한 심정을 풀어낸다. 영화 속 차가운 현실의 온도를 끌어올리는 건 연기 경력 도합 200년에 이르는 김영옥, 나문희, 박근형 등 명배우들의 애틋한 연기다.

 

                                                                             영화 ‘플랜 75’. 찬란 제공

 

 

2022년 칸영화제에 초청돼 신인 감독에게 주는 ‘황금카메라상 특별언급’을 받은 일본 영화 ‘플랜 75’의 질문은 ‘소풍’보다 더 도발적이다. 65살 이상 인구가 전체의 30%에 다다른 초고령사회인 일본. 근미래에 75살 이상의 노인이 죽음을 선택하면 국가가 안락사를 지원하는 ‘플랜 75’가 실행된다. 플랜 75 정책이 실시되면 국가 재정이 회복된다는 뉴스가 연일 나오고, 함께 호텔 메이드로 일하던 동료가 다치자 나이 든 직원들이 한꺼번에 잘리며 생계가 막막해진 미치(바이쇼 지에코)는 플랜 75 상담 신청을 한다.

 

‘플랜 75’의 설정은 황당하면서도 현실적이다. 한국에서도 초고령사회를 예측하며 언급되는 내용은 건강보험 등 재정 부담이 대부분이다. 제목에 75가 들어간 건 일본에서 75살은 후기 고령의 기준이 되는 나이이기 때문이다. 지난달 30일 한겨레와 만난 하야카와 지에 감독은 “20년 전 일본 정부가 75살 이상을 후기 고령자로 명명하기 시작했을 때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 지금은 익숙해져서 아무도 문제제기하지 않는다. 플랜 75라는 황당한 정책이 만약 현실이 된다면 처음엔 반대의 목소리가 있겠지만 이 역시 금방 수용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하야카와 감독은 작품을 준비하며 고령 여성을 10여명 심층 인터뷰했는데 이들 모두 영화 속 정책을 현실에서도 찬성해 큰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그는 “일본은 타인이나 사회에 폐를 끼치는 걸 극도로 혐오하는 사회다. 또 자기희생을 사회에 대한 기여처럼 생각하기도 한다”며 “짐이 되지 않기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건 사회의 폭력”이라고 말했다. 안락사 여론조사에서 찬성 이유로 가족에게 짐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는 답변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어떻게 생을 마무리할 것인가에 대한 두 영화의 결말은, 선택의 문제와 관련해 사회가 더 많은 답변을 준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렬하게 남긴다.

 

 

< 출처 : 한겨레신문 > 

:
Posted by suk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