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대학의 새로운 가치는 적극적 기술 개발"

 

최기주 아주대 총장 인터뷰

대학 역할 교육에 그치면 안돼
기업에 기술 팔고 창업 연결

지난해 기술지주사 출범
사업화 수익 국내 4위 올라
해외시장 특허 판매도 지원

 

 

"과거 대학의 역할이 교육과 연구였다면, 지금은 여기에 적극적인 산학 협력까지 요구합니다. 우리 대학이 가진 탄탄한 연구 역량과 인프라를 통해 기업에는 지식재산을 제공하고, 사회 가치를 창출하도록 하겠습니다."

최기주 아주대 총장은 최근 매일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대학이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적인 역할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단순하게 교육과 연구만 하던 과거의 대학에 머물러서는 생존할 수 없다는 위기감에 따른 것이다. 그는 기술사업화를 통해 아주대가 대학의 새로운 사회적 역할 선도에 나설 것이라고 기대했다. 기술사업화란, 대학이 연구를 통해 획득한 기술을 기업에 팔거나 창업으로 연계해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이다.

실제로 아주대는 기술사업화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아주대가 일반 기업에 기술을 이전해 벌어들인 수익은 총 52억1000만원(71건)에 이른다. 국내에서는 연세대와 서울대, 카이스트에 이어 네 번째다. 같은 기간 전국 128개 종합대학 평균 기술이전수익(9억원)의 5배를 웃돈다. 최 총장은 "대학이 기술사업화 역량을 키워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한다면, 기업과 산업, 국가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학 내 '기술사업화팀'을 구성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전문 변리사와 기술거래사, 기술가치평가사 등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팀은 학내 유망 기술을 발굴해 이를 기업과 연결해 실제 사업화 및 실용화로 이어지도록 각종 지원을 담당한다. 이뿐만 아니라 소속 연구자들이 핵심 기술로 창업해서 직접 사업화를 시도할 수 있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아예 단독 기술지주회사인 '아주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도 출범시켰다. 연구의 결과물인 기술로 수익을 창출하고, 해당 수익을 연구개발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게 목표다. 현재 기술지주회사 산하 자회사는 3곳이나 된다. 최 총장은 "대학이 기술사업화 역량을 키워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한다면, 기업과 산업, 국가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대학의 투자와 노력은 결과로 이어졌다. 지난해 서형탁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수소 누설 감지용 변색 센서 기술'의 이전으로 25억여 원의 기술이전료를 확보한 것이 좋은 예다. 박상규 약학과 교수도 기술 창업으로 설립한 신약개발사 노벨티 노빌리티를 통해 최근 8800억원 규모 기술 수출(L/O)에 성공하기도 했다. 노벨티 노빌리티는 누적 투자유치금액이 482억원, 기업가치는 800억원 규모로 급성장해 2024년 1분기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다. 최 총장은 "아주대 연구진의 기술과 특허가 국내 기업과 시장뿐 아니라 해외의 기업과 시장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활동 범위를 넓혀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주대는 해외 시장에서 기술사업화를 위해 우수 연구자의 국제 기술 전시회 참여 지원을 늘려갈 방침이다. 아주대는 올해부터 △AI모빌리티 △지능형반도체 △첨단신소재 등 3개 첨단학과를 신설하고 바이오에 이어 첨단산업에서의 기술사업화도 기대하고 있다.

지난 2월 17대 총장으로 취임한 최 총장은 본래 도시계획·교통 분야 전문가다. 그는 취임사에서 "평생 도로길과 철도길, 하늘길과 뱃길을 닦아온 교통 분야 전문가로서 이제 아주대의 길을 위해 남은 임기를 보내고자 한다"며 "아주가 걸어온 50년의 역사 위에서 앞으로 100년의 길을 개척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주대는 2023년 개교 50주년을 앞두고 있다.

< 출처 : 매일경제 >

:
Posted by sukji

 

 

교육개혁 고삐 죄는 정부, 첨단산업 대학원 정원 푼다

 

尹 강조한 인재양성에 발맞춰
반도체·AI 등 21개 분야 대상
교수만 있으면 정원확대 허용

신산업 현장규제 33건 완화
尹 "규제개혁이 곧 국가성장"

전기차·드론·헬스케어도
`모래주머니` 없앤다

 
 
       
             13일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용산 집무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첫 주례회동을 하기 전에 환담을 나누고 있다.
                                                               [이승환 기자]
 

 

새 정부가 첨단산업 교육을 비롯해 전기차, 드론, 자율주행, 바이오 등 신산업 분야 현장에 대해 대대적인 규제 개선안을 내놓으며 규제 개혁을 향한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 특히 이번 개선안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강조한 첨단산업 인재 양성과 관련한 규제 완화 방안도 포함되면서 향후 반도체 등 신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의 규제 개혁 행보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무조정실은 지난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규제개혁위원회를 열고 에너지·신소재, 무인이동체,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바이오·헬스케어 등 신산업 현장의 규제 33건에 대한 개선 방안을 확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개선 방안에는 윤 대통령의 첨단산업 인재 양성 기조에 맞춰 대학원 정원 규제 완화책이 함께 담겼다. 완화 방안은 첨단산업 분야에 대해서는 대학원 정원을 늘릴 때 교원 확보율 기준만 충족하면 정원 순증을 허용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가르칠 교수만 확보된다면 정원 증원을 막지 않겠다는 것이다.

현행 제도상 대학원 정원을 증원하기 위해서는 교원(교수), 교사(건물), 교지(용지), 수익용 기본재산 등 4대 교육 여건을 모두 확보해야 한다. 그러나 인재를 적기에 양성하기 위해 정원의 유연한 조정이 필요한 첨단산업 분야 교육은 현 제도 아래에서 운영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차세대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산업은 연구개발(R&D)을 위한 석·박사급 전문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이에 일부 전문가는 첨단산업 인력 양성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대학원 정원 확대를 꼽기도 한다. 신산업 기업들이 관련 전공 학부생 정원과 대학원 정원 증원을 정부에 계속 요구해온 이유이기도 하다.

이에 교육부는 첨단산업 분야에 한해 교수만 확보된다면 대학원 정원 증원을 위한 심사를 할 수 있도록 기준을 완화하기로 했다. 첨단산업 분야에는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21개 분야가 해당된다. 대학원 정원 규제 완화가 기업 활동에 직접적인 규제가 아님에도 규제 개선 방안에 포함된 것은 윤 대통령의 첨단산업 인재 육성 의지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방안은 당초 지난해 9월 입법예고돼 법제 심사가 진행되고 있었지만 진전이 더딘 측면이 있었다. 해당 개정안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논의된 이후 이번 규제 개선 방안에도 포함돼 작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조치 시한을 오는 9월로 못 박았다.

이날 윤 대통령은 한덕수 국무총리와 만나 한 총리 주재로 열릴 규제혁신전략회의 개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윤 대통령은 "규제 개혁이 곧 국가의 성장"이라는 강한 표현을 쓰며 한 총리에게 이 문제를 각별히 살펴봐줄 것을 당부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두 분은 대한민국의 성장과 재도약을 위해 시대에 뒤떨어진 규제를 개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면서 "새 정부의 규제 개혁 시스템을 조속히 가동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작업을 총리가 각별히 챙겨 달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날 정부는 전기차, 드론, 헬스케어 등 신산업 분야의 다양한 규제에 대한 개선안도 내놨다. 우선 정부는 의료기기에 대해 '경미한 변경사항' 대신 '중대한 변경사항'을 구체적으로 명시해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변경허가를 받는 대신 업체가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네거티브 규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그동안 의료기기 사업자들은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특성상 유지·보수와 업데이트 등을 매우 빈번하게 했는데, 이는 경미한 변경사항에 포함되지 않아 매번 변경허가를 신청해야 했다. 이로 인해 업체들은 변경허가에 따른 기간(평균 42일 소요)과 수수료 비용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이에 핵심 성능이나 분석 알고리즘 등 중대한 변경이 아닌 경우에는 허가 사항에서 배제해 편의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렌터카 업체 등 법인이 지점이 없는 지자체에서 전기차를 구매하더라도 국비 보조금을 별도로 수령할 수 있도록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 현재는 전국 단위로 전기차를 운영하는 법인이 지점을 두지 않은 지자체에서 전기차를 구매하면 국비 보조금을 별도로 수령하는 게 불가능하다. 정부는 이 밖에도 드론 야간비행에 필요한 필수 장비·시설 완화 등 산업 분야별 규제 개선안을 내놨다.

 
< 출처 : 매일경제 >

 

:
Posted by suk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