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정확한 말, 세련된 말, 배려의 말 : 문해력을 높이고 언어 감수성을 키우는 우리말 핵심 표현 100 / 강성곤 

411.4 강53ㅈ  인문과학열람실(3층)

 

책 소개

 

내가 무심코 쓰는 말이 잘못된 표현일 수 있다!
베테랑 아나운서의 경험과 이론 그리고 유쾌한 그림이 만난
우리 언어 생활에 대한 건강한 문제 제기

 

입말을 중심으로 자주 틀리는 표현, 뜻을 알고 바르게 써야 하는 표현들 뿐만 아니라 차별과 혐오가 담겨있어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표현들까지를 가려 묶었다. 또 이왕이면 덜 썼으면 하는 일본어·영어식 표현의 잔재들을 꼬집고 있으며 숫자 세는 법, 사과 잘 하기 등 일상 속에서 좀 더 세련되게 말하는 방법들을 알려주고 있다.

37년간 KBS아나운서로 일해온 저자의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한 우리의 언어 생활에 대한 저자의 문제 제기와 제안은 독자로 하여금 정확한 말, 세련된 말, 배려의 말이 어울린 교양있는 언어 생활에 대한 상을 세우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이크종이라는 닉네임으로 알려진 일러스트레이터 임익종의 익살스러운 삽화로 100편의 언어 장면들을 소환하며 우리들의 언어 생활에 대한 공감의 폭을 넓히고 있는 것은 이 책의 매력 포인트 중 하나다.

 

출판사 서평

 

내가 무심코 쓰는 말이 잘못된 표현일 수 있다!
올바른 맞춤법과 정확한 표기 그리고 차별하지 않는 중립적 표현까지.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는, 언어 감수성을 키워주는 책

‘걸맞은’과 ‘걸맞는’, 뭐가 맞을까?, ‘너머’와 ‘넘어’는 어떻게 다를까? “고등어 두어 마리만 주세요”라고 말할 때 두어는 어느 정도를 지칭하는 것일까? ‘난이도가 높다’라는 말, 바른 표현일까? ‘여류 작가’, ‘처녀작’이라는 말을 맞닥뜨렸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 공식석상에서 나를 예의 바르게 소개하는 방법은 뭘까? 사과는 어떻게 하는 것이 적절할까?

문해력이 화두다. 보통 문해력을 얘기할 때 맞춤법을 틀리지 않고 풍부한 어휘를 사용하는 것까지가 주로 얘기된다. 내가 얘기하고 싶은 것을 정확하고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문해력의 본질은 소통이다. 소통의 핵심은 바로 상황과 맥락에 맞게, 그리고 상대방을 생각하면서 말하고 듣기, 읽기와 쓰기다. 이러한 이유로 언어는 시대에 따라 계속 변화해왔고 이것이 언어의 자연스러운 속성이다.

최근의 시대 정신은 소수자와 약자를 차별하지 않는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이다. 일례로 최근 영미권 최대 출판 그룹인 하퍼콜린스가 애거사 크리스티의 ‘명탐정 에르퀼 푸아로’와 ‘미스 마플’ 시리즈에 담긴 일부 인종차별적 표현을 아예 삭제하거나 다른 단어로 바꾼 것이 화제가 된 일이 있기도 하다. 요컨대 『정확한 말, 세련된 말, 배려의 말』은 정확하게 말하고 있는지, 그리고 소수자와 약자를 차별하지 않고 말하고 있는지, 상황과 맥락에 맞게 말하고 있는지, 나 뿐만 아니라 방송·신문 등 미디어 언어까지 우리 주변의 언어 생활에 민감하게 촉각을 세우자라고 제안하고 있는 책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책에서 다루는 우리말 표현 100개는 맞춤법, 띄어쓰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입말을 중심으로 자주 틀리는 표현, 뜻을 알고 바르게 써야 하는 표현들 뿐만 아니라 차별과 혐오가 담겨있어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표현들까지를 가려 묶었다. 또 이왕이면 덜 썼으면 하는 일본어·영어식 표현의 잔재들을 꼬집고 있으며 숫자 세는 법, 사과 잘 하기 등 일상 속에서 좀 더 세련되게 말하는 방법들을 알려주고 있다. 특히 ‘ㅔ’와 ‘ㅐ’, ‘거’와 ‘거:’ 등 한국어의 정확한 음가찾기와 음가내기에 대해서 집요하게 파고들며 표준발음 연구의 필요성을 얘기하는 것은 이 책의 차별화 지점 중 하나다.

베테랑 아나운서의 경험과 이론 그리고 유쾌한 그림이 만난
우리의 언어 생활에 대한 건강한 문제 제기 

저자 강성곤은 1985년 KBS에 입사해 2022년 정년퇴임하여 37년간 공영방송 아나운서로 일해왔다. 아나운서라는 직업에 대해 저자는 “국어를 사용하는 가장 예민한 관찰자요 철저한 검수자”이며, ‘말하기’와 ‘읽기’ 영역에서 본보기의 역할을 부여받았다라고 밝힌다. 이러한 아나운서의 사회적 역할과 소임에 대해 민감한 저자는 현장을 너머 KBS한국어진흥원의 모태인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교육팀장을 시작으로 국립국어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 외부 기관에서도 표준어·맞춤법·방송언어 관련 강의 및 연구 활동을 활발히 했다. 무엇보다 KBS한국어능력시험 출제 및 검수위원으로서 2004년 첫 회부터 2020년까지 함께 하면서 한국어와 맞닿은 다양한 국면을 직접 경험하고 체화하며 바른 한국어 사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벼려왔다는 것이 강성곤 저자의 특별한 지점이다.

『정확한 말, 세련된 말, 배려의 말』은 이러한 저자의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의 언어 생활에 대한 건강한 문제 제기를 한다. ‘유명세’, ‘회자’, ‘희귀암’ 등 우리가 관성적으로 쓰고 있는 표현에 대하여 원래 말뜻을 알고 적절하게 사용할 것을 촉구한다. ‘직격탄을 날리다’와 같은 거칠고 사나운 표현이 방송에 자주 출몰하는 것을 지적하며 이는 ‘정면 대응하다’와 같은 다른 표현으로 바꿔 말할 것을 제안한다. 또 온도 눈금인 섭씨, 화씨와 같은 외래어도 그 말의 유래를 따져보면 중국이 섬세하지 못하게 이름붙인 것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라며 이미 우리 생활에 정착된 외래어라도 고쳐쓸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안데르센의 동화 「미운 오리 새끼」를 언급하며 이는 「미운 새끼 오리」나 「미운 아기 오리」로 바꿔 말하고 표기해야 한다는 꼬집는 대목은 문제적이다. 누군가가 ‘아기 오리’가 아닌 ‘오리 새끼’를 선택할 때에 매개된 힘 있는 자의 시선 그리고 단어 위치 하나에도 어감이 달라지는 것을 알아채리는 언어 감수성이 필요하다고 이 책은 말하고 있다.

『정확한 말, 세련된 말, 배려의 말』의 매력 포인트 중 하나는 이크종이라는 닉네임으로 알려진 일러스트레이터 임익종의 익살스러운 삽화로 100편의 언어 장면들을 소환하며 우리들의 언어 생활에 대한 공감의 폭을 넓히고 있다는 것이다. 재미있는 그림과 함께 베테랑 아나운서의 우리말에 대한 일갈을 읽는 것은 정확한 말, 세련된 말, 배려의 말이 어울린 교양있는 언어 생활에 대한 상을 세우는 데 의미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목차

 

여는 글_재밌고 유익한 국어는 가능하다


01 이제는 제대로 알자_매번 헛갈리는 표현
001 걸맞은
002 ‘두어’의 의미
003 -데/-대
004 너머/넘어
005 -런지?
006 -이에요/-예요
007 -서/-써
008 지/-지
009 그리고는?
010 몇일? 며칠!
011 뵈/않
012 알은체/알은 척
013 옥니?
014 -워/-와
015 -의/-에/-에서
016 추스리고?/설레임?/단언컨데?
017 하릴없이/할 일 없이
018 행여/혹여
019 결단/결딴
020 횡경막?
021 장이/쟁이
022 얼르다?
023 반증/방증
024 띄어쓰기와 붙여쓰기
025 대괄호와 소괄호

02 이 말이 본디 이런 뜻이었나요?_잘못 쓰고 있는 표현
026 구설수
027 난도와 난이도
028 봇물을 이룬다고?
029 ‘잠그다’의 반대말
030 굴삭기?
031 세상 밖으로?
032 옥석구분?
033 유명세
034 일파만파를 낳다?
035 겹치는 말
036 진위 여부
037 회자
038 휘발성
039 동물과 식물의 의미
040 굉장히
041 희귀암?
042 바라겠습니다?
043 행복하고 싶어요?
044 좋은 하루 되세요?
045 진심을 다합니다?
046 자정
047 첩첩산중과 점입가경
048 지켜본다고?
049 옷깃을 여미다?
050 옷차림을 따뜻하게?

03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_자연스럽고 세련된 표현
051 숫자 잘 읽기
052 되게
053 서너 개
054 -은, -는/-이, -가
055 이곳은요
056 제대로 사과하는 법
057 이름 부르기
058 코로나19(COVID-19) 읽기
059 ‘안사람’을 ‘배우자’로?
060 자기소개
061 중의重義의 함정
062 원래와 본디
063 ‘했다’의 남발
064 스텝이 꼬이다
065 물건을 세는 순우리말 단위들
066 직격탄
067 ‘깜’의 득세
068 골머리를 앓다?

04 공정하게 말하는 법_차별하지 않는 중립적 표현

069 미운 오리 새끼
070 내외 귀빈에 고함!
071 사사, 자문, 임대료
072 귀성길/귀경길
073 배려언어 1
074 배려언어 2
075 얼굴마담
076 유색有色과 방幇
077 여성에게만 쓰는 표현들

05 예쁜 우리말이 있으니까요_덜 썼으면 하는 일본어·영어식 표현
078 ‘그들’의 풍년
079 ‘포함’의 왕국
080 ‘부분’이 그리 좋은가?
081 허세로 쓰는 단어, since
082 기라성?
083 단도리?
084 뗑뗑뗑?
085 삐까뻔쩍?
086 섭씨/화씨
087 -적
088 패스트트랙에 태운다고?
089 파이팅?
090 삑사리?
091 십팔번?
092 유야무야?

06 올바른 발음에 관하여_발음을 생각하다

093 ‘ㅐ’ 와 ‘ㅔ’ 발음
094 앵커들의 악센트 전도
095 ‘정’의 발음
096 ‘거’와 ‘거:’
097 불고기와 물고기
098 장고모음長高母音
099 장長의 발음
100 ‘이설주’와 ‘최용해’

부록 복습 퀴즈

 

< 내용 출처 : 교보문고 >

:
Posted by sukji

 

언어의 높이뛰기 : 신지영 교수의 언어 감수성 향상 프로젝트  / 신지영

411.121 신79ㅇ  인문과학열람실(3층)

 

책소개

 

★CBS 김현정 앵커, 최인아책방 대표 최인아 강력 추천
★2020 한국아나운서대상 장기범상 수상
★옥스퍼드 사전 한국어 표제어 자문위원 선정

“오늘 내가 한 말 중에는 옳지 않은 말이 있다”
말에 무심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언어 감수성 강의

《언어의 높이뛰기》는 우리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언어 표현들을 하나씩 살펴보며, 그 의미와 속뜻을 흥미진진하게 풀어내는 언어 탐구서다. 흔히 언어를 ‘생각을 표현하는 수단’이라 말하지만, 지금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말들은 우리가 지향하는 가치와 사고, 달라진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대에 맞지 않은 불평등한 가족 호칭어나 성차별적 지칭어가 단적인 예다. 지난 20년 동안 언어 탐험을 통해 인간을 이해해온 언어학자 신지영은 나이, 성별, 위계에 따른 차별과 편견의 언어를 날카로운 시선으로 진단해 이 책에 담아냈다. 책을 통해 저자는 우리가 문제의식을 갖지 못했거나 알면서도 안일하게 써온 말들을 10가지 주제로 설명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어떻게 바꿔나가야 할지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그는 말한다. “무심코 사용하는 말에 민감해지고 스스로 언어감수성을 높여 ‘언어의 높이뛰기’를 시도해보자”고.

높이뛰기는 공중에 가로질러 놓인 막대를 뛰어넘고자 시도하는 운동이다. 언어의 높이뛰기도 이와 다르지 않다. 우리는 매일 누군가와 만나고 어떤 식으로든 대화를 이어간다. 그 과정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이해하려는 시도를 멈추지 말아야 한다. ‘언어 감수성’이라는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을 뛰어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언어의 높이뛰기를 시도할수록 또 그 기준이 조금씩 올라갈수록, 말에 배어 있던 편견과 혐오, 고정관념은 차츰 사라지게 될 것이다. 누군가에게 상처가 되고 칼이 되는 표현을 뛰어넘어 바르고 단단한 언어 감수성을 길러야 한다는 것. 우리 모두가 ‘언어의 높이뛰기’에 동참해야 하는 이유다.

 

출판사 서평

 

“내 말은 어떻게 당신을 차별하고 있는가?”

사소하지만 누군가에게는 불편했던 말들
익숙한 표현 너머의 진짜 세상을 보여주는 책!

“왜 반말하세요?” 처음 본 사람에게 무턱대고 반말을 듣게 된다면 쏘아주고 싶은 말이다. 한국에서 ‘나이’는 말하는 방식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우리는 당연하게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에게는 반말을 건네고, 존댓말을 들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상대에게는 존댓말을 하고, 반말을 들어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높임법’이 발달되어 있는 것이 한국어의 특징이고, 그 순기능으로 상대를 존중하는 태도가 드러난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는 ‘높임’에만 방점을 찍은 해석이다. 우리말의 높임법은 ‘낮춤’을 표현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말의 위계는 권력의 위계로 이어지고, 결국 이로 인해 관계의 위계가 확고해진다는 사실을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그렇다고 아이가 어른에게 반말을 할 수는 없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 하지만 신분제를 세계관으로 가지고 있던 시절(불과 100여 년 전)에 존댓말의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가 ‘신분’이었듯, 시대가 지향하는 가치와 상황이 바뀌면 언어는 달라진다. 그리고 달라져야만 한다. 지금 우리는 소위 선량한 ‘연령 차별주의자’가 되어, 나이를 기준으로 말의 서열과 사람의 우위를 판단하는 데 익숙해졌다. 무심코 내뱉은 말이 누군가에게는 권위적이고, 무례하며 배척하는 표현이 될 수 있음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해야 한다. ‘평등의 가치를 추구하는 세상에서 불평등한 관계를 공고하게 만드는 말을 왜 계속 써야 할까?’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질문을 던질 때 비로소 우리의 언어의 감수성은 한 차원 더 높아진다.

《언어의 높이뛰기》는 이처럼 무심코 써온 말들에 숨겨진 차별과 권위의 시선을 날카롭게 포착해낸 책이다. 저자 신지영 교수(고려대학교 국문학과)는 언어에 반영된 사회상과 그에 따른 언어 사용자의 사고 변화를 연구하고, 현 시대에 맞는 언어 사용의 청사진을 제시해온 학자다. 특히 우리가 평소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일상어들을 새롭게 재조명해, 다양한 매체에서 ‘언어 탐험가’라는 별칭으로 소개되어 왔다. 신지영 교수는 이 책에서 지난 20여 년 동안 수많은 사람들과 나누었던 의견들, 그를 통해 발견하고 성찰해온 내용, 사회 각 분야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논쟁과 문제를 쉽고 흥미롭게 풀어냈다. 책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언어에 민감해지고 감춰진 불편한 사실들을 스스로 감지해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변화는 늘 당신의 입 앞에서 멈춰 있었다”

이상한 높임말부터 말 속에 숨은 차별과 권위의 시선까지
언어의 사각지대를 뛰어넘는 열 번의 강의

《언어의 높이뛰기》는 언어 감수성 향상을 위한 열 번의 강의로 구성되어 있다. 가족과 친구 사이에서, 또는 사회에서 부지불식간에 사용하는 표현 중 변화된 시대상을 담지 못하는 경우를 흥미롭게 분석한다. 평등의 가치를 훼손하고, 성차별을 암시하며, 때로는 이분법적 이데올로기로 조장하는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지금 당장 생각하고 달라질 수 있는 대안부터,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까지 두루 살핀다.

‘민낯’은 곱씹을수록 불편해지는 표현이다?
흔히 사회 문제의 숨겨진 실체가 드러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우리 사회의 ‘민낯’이 드러났다고 말한다. 또는 숨겨진 추한 실체가 드러나는 것을 권력자들의 ‘민낯’이 드러났다고 표현한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면 ‘사회의 민낯이 드러난다’는 표현에는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모습이 사실은 화장을 통해 꾸며진 것이고, 실체가 아니었다는 것을 뜻한다. 더불어 화장을 지우고 드러난 실체는 화장을 통해 가려졌던 것과는 달리 결함이 가득하고 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민낯’을 바라보는 시선도, 민낯을 가리는 ‘화장’을 바라보는 시선도 결코 긍정적이지 않다. 그런데 조금 더 나아가 생각해보면 ‘민낯’과 ‘화장’이라는 단어와 연상되는 성별은 주로 ‘성인 여성’임을 알게 된다. ‘민낯’이라는 표현은 누구의 관점이 반영되었던 표현일까? 〈두 번째 강의. 민낯이 불편한 말이 된 이유〉

손님에게 공손하기만 하면 상관없다?
‘아메리카노 나오셨습니다’, ‘이 옷은 신상품이세요’, ‘진료실로 들어오실게요’. 카페에서, 옷가게에서, 병원에서 이처럼 문법에 맞지 않은 표현들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말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이 말을 듣는 사람들도 잘못된 표현임을 알고 있을뿐더러 여러 매체에서도 꾸준히 문제점을 지적해왔다. 그럼에도 여전히 고쳐지지 않고 계속해서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언어의 감수성을 기른다는 것은 특정한 혐오·차별 표현을 쓰지 않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말은 말을 하는 사람과 말을 듣는 사람을 향한 태도도 함께 품고 있다. 앞서 살펴본 말들은 문법적으로 잘못되었지만 공손함을 나타내기 위해 생긴 표현들로, 모두 서비스 장면에서 사용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문법성을 훼손해도 좋으니 공손하게 대접해주길 바라며 요구한 사람은 누구였을까? 손님이라는 우월적 지위를 은연중에 내세우는 우리의 태도가 문제는 아니었을까? 〈세 번째 강의. 아메리카노가 나오시는 나라에서〉

전통이니까 따라야만 할까?
도련님, 아가씨, 처제, 처남, 장인어른, 장모님…. 결혼을 통해 맺게 되는 새로운 가족 관계에서 부르고 불리는 말들이다. 이러한 가족 호칭어는 언제 만들어졌을까? 성(性)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이 당연시되고 여성이 결혼하면 출가외인이 되는 시대다. 지금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세계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말들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언어 표현이 담고 있는 관점은 우리에게 자연히 스며들어, 우리의 생각을 부지불식간에 지배한다. 남녀평등의 시대를 지향하면서 성별 비대칭적인 관점, 가부장적인 관점이 깃든 언어 표현을 계속 사용해도 괜찮을까? 이제 가족 호칭어에도 ‘새로고침’이 필요하지 않을까? 말을 바꾸지 않으면 생각도 달라지지 않는다. 지금은 불편하더라도 우리가 바꿔서 다음 세대에게는 부적절한 표현을 물려주지 말아야 옳지 않을까? 〈여섯 번째 강의. 부르면 부를수록〉

비말, 언택트…. 도대체 누구를 위한 말일까?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우리 일상에는 수많은 말들이 새롭게 생겨나 사용되고 있다. 비말, 코호트 격리, 음압 병실, 에피데믹, 팬데믹, 드라이브스루 등등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또 이 말들은 익숙하지 않을뿐더러 어렵다. 만약 일반인에게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비말’보다 ‘침방울’이라는 표현이 더 쉽게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을까? ‘코호트 격리’보다는 ‘동일 집단 격리’라는 말을 사용하는 편이 훨씬 이해하기 쉽지 않을까? ‘코호트’가 로마 시대의 군부대 단위의 이름이었고, 통계학에서 동일한 특성을 공유하는 대상 집단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굳이 우리가 알아야 하나? 감염병이 유행하고 수많은 매체에서 관련 기사를 쏟아내는 상황에서 누군가는 새롭게 생겨난 용어들로 소외감을 느끼고 코로나19를 더 공포스럽게 느꼈을지 모른다. 전대미문의 재난 상황 속에서 왜 우리는 어려운 말들을 새롭게 학습해야 할까? 평소 자주 사용하는 일상 용어들을 사용하면 안 될까? 언어의 벽이 만들어지지 않기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아홉 번째 강의. 코로나19 시대의 언어 풍경〉

《언어의 높이뛰기》는 사소하다고 여겼지만 사실은 그 이면에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일상의 표현을 차근차근 짚어낸다. 저자의 예리한 문제 제기를 따라가다 보면, 우리가 의식하지 못했던 차별적 시선이 우리 안에 있다는 사실을, 그리고 우리가 얼마나 그에 둔감한지를 깨닫게 된다. 시대가 바뀌면, 그 시대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생각과 추구하는 가치관도 바뀐다. 이를 담지 못하는 언어 표현들을 꼼꼼하게 되새기고 성찰해야 한다. 말은 결국 자신의 생각을 상대에게 표현하는 것이다. 우리가 하는 말이 우리가 지향하는 가치를 잘 담고 있는지 점검하고, 듣는 사람에게 어떻게 들릴지 고민하고, 또 그에 맞게 사용할 때 언어의 품격이 올라간다. 올바른 말하기 표현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언어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과 감수성을 높여줄 방향타가 되어줄 것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높이뛰기를 위한 도움닫기
프롤로그. 당신의 언어 감수성을 위하여

첫 번째 강의. 왜 반말하세요? _나이가 권력인 우리
작가는 당연히 어른일까?│아이는 어른에게 반말을 하면 안 될까?│나이가 궁금한 우리│권력관계가 드러나는 질문, “몇 살이세요?”│나이를 묻는 진짜 이유│나이가 권력이 되는 사회, 그 사회를 만든 언어│‘선량한’ 연령 차별주의자를 만드는 높임법│바뀌어 온 언어, 바꾸어 갈 언어│말로 각인되는 사람의 서열│사람 위에 사람 있고 사람 밑에 사람 있다?
#깊이 보기 높임법을 없앤다면 어떤 말로 통일할까?
#깊이 보기 세는나이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
#깊이 보기 족보 파괴자 ‘빠른년생’의 탄생 배경
#깊이 보기 한국어 높임법의 작동 원리

두 번째 강의. ‘민낯’이 불편한 이유 _곱씹을수록 불편해지는 단어들
어느 날 갑자기│민낯이 왜 나쁘지?│화장은 왜 나쁘지?│부정적인 시선이 향하는 곳│‘민낯’과 ‘화장’에 담긴 주류의 관점│‘프로불편러’라는 이름표│배운대로 말할 뿐이라고?│그럼 도대체 어떤 말을 쓰라는 거야!
#깊이 보기 ‘민낯’은 언제부터 사용된 말일까?

세 번째 강의. ‘아메리카노’가 ‘나오시’는 나라에서 _공손성이 문법성을 이길 때
어디를 가나 들리는 이상한 말들│어색한 말이 널리 쓰이는 이유│어디가 어떻게 이상한 걸까?│똑똑하면 손님을 잃어요!│나의 명령이 아니라 당신의 의지입니다│공손성의 요구 뒤에 숨은 일상의 갑질
#깊이 보기 “연구실에 계실까요?”

네 번째 강의. ‘여사’의 변모 _우리 사회는 여성을 어떻게 불러왔나?
2017년 〈한겨레〉의 ‘씨’ 논란│사실은 1999년부터: ‘이희호 씨’인가 ‘이희호 여사’인가│2007년에 또다시: ‘권양숙 씨’ 논란│‘씨’ 논란에서 짚어보아야 할 두 가지│호칭어와 지칭어의 차이│‘여사’의 과거│‘여사’의 현재│언론의 ‘여사’ 판별 방식│‘씨’냐 ‘여사’냐가 아니라 왜 ‘여사’냐의 문제

다섯 번째 강의. 너를 너라고 부를 수 없음에 _타인의 신상정보가 절박한 이유
‘당신’은 ‘너’의 높임말이 아닌가요?│싸움을 부르는 ‘당신’│존중의 ‘당신’│안 되는 ‘당신’과 되는 ‘당신’의 차이│공손성에 따른 이인칭 대명사의 구분│이제는 답할 수 있다!│그럼 뭐라고 부르죠?│호칭어가 필요한 이유│우선 성별과 연령부터│직함을 알고 있다면│호칭어의 메뉴판
#깊이 보기 Director Bong, oppa, maknae!
#깊이 보기 제가 왜 당신의 언니인가요?

여섯 번째 강의. 가족 호칭에 숨은 불편한 진실 _왜 부르면 부를수록 멀게 느껴질까?
아주 오래된 미래│그 많던 ‘윤형연’은 어디에 있을까?│‘저는 당신의 자녀입니다’ 대 ‘저는 당신의 자녀가 아닙니다’│너는 이제 ‘신생아’란다│우리집 서열 최하위는 누구?│가족 서열과 나이 서열의 역전│가족 호칭어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족 호칭어는 왜 달라지지 않을까?│불편하다는 당신에게│추구하는 가치가 담긴 언어를 위해

일곱 번째 강의. ‘외국인’은 누구인가? _언어로 준비하는 대한민국의 미래
외국인의 페르소나│내국인만 보세요│공급자 중심의 분류 기준│사용자 중심의 분류 기준│‘외국인’의 사전적 의미│‘외국인 주민’은 누구일까?│내가 왜 외국인 주민일까?│다 그들을 위한 거예요!│다문화·다인종 국가가 코앞에│우리의 현실은?│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살아갈 대한민국

여덟 번째 강의. ‘당선인’이 되고 싶은 ‘당선자’ _언론, 누구의 목소리를 대변하는가?
당선인이 되어 가는 당선자│이명박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당선인이라고 불러 주오’│헌법재판소: ‘당선자라고 써 주오’│언론, 누구의 요청을 수용했을까?│14년간의 혼란, 그리고 당선인 선택의 배경│‘유권자’가 뽑았는데 ‘당선자’가 싫다니!│진짜 바꿔야 할 것은 한자의 새김│언론의 언어를 살피다

아홉 번째 강의. 코로나19 시대의 언어 풍경 _정치와 권력이 드러나는 언어
비일상의 일상화│첫 번째 풍경: 감염병의 이름에 얽힌 치열했지만 허무한 줄다리기│정치적인, 너무나 정치적인│짚어야 할 두 가지│명칭이 주는 ‘틀 짜기’의 효과│두 번째 풍경: 비말과 침방울이 던지는 질문│비말은 침방울이 될 수 있을까?│그런데 왜 비말은 침방울이 되어야 하는가?│언어가 주는 권력: 누구의 언어인가?

열 번째 강의. ‘‘언택트’와 ‘빠던’이 던지는 질문 -언어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
앵커의 입에서 나온 조금은 낯선 단어│‘새말’에 대한 두 가지 반응│‘다듬어 써야 할 말’ 대 ‘사라져야 할 말’│‘새말’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저속하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드라이브스루 진료’는 왜 ‘차타고 진료’가 될 수 없을까?│당신의 잘못이 아니다│언어의 우열이 아니라 언어 사용자의 우열
#깊이 보기 언택트의 놀라운 반전

 

< 출처 : 교보문고 >

:
Posted by suk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