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2

« 2024/1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축소되는 세계 : 인구도, 도시도, 경제도, 미래도, 지금 세계는 모든 것이 축소되고 있다 / 앨런 말라흐

304.6 M252sKㄱ  사회과학열람실(3층)

 

책 소개

 

바야흐로 〈위대한 성장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다.
축소되는 인구, 축소되는 경제는 이 세계를 점점 축소시키고 있다.
〈축소되는 파이〉의 부스러기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 또한 치열하다.
그렇다면 지금 줄어드는 인구는 미래의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인구든 경제든, 성장은 끝났다.
〈소멸 직전의 시대〉, 성장의 시대가 끝나고 〈축소의 시대〉가 왔다!

▣ 인구 감소에서 시작된 전 세계 각국의 축소 현황을 담은 리얼한 현장 보고서
이 책은 도시 계획 전문가로 30년간 인구 감소 상황에서 주택 공급과 경제 개발, 도시 재활성화 문제를 주로 연구해온 저자가 인구 감소에서 비롯된 전 세계 여러 국가의 축소 현황과 함께 지금과 같은 인구 추세가 지속될 때 2050년의 세계와 경제는 어떤 모습일지 예측하고 있다. 또한 인구 감소와 축소 세계를 초래하는 원인과 그 영향도 함께 살펴본다.
저자는 한 번 출산율이 급감한 나라는 다시 회복하기가 힘들며 따라서 지금 인구가 감소하는 국가는 앞으로도 감소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축소 국가의 선두〉에 서 있다고 말한다. 반면 미국은 인구가 감소함에도 〈15-30세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2050년에도 경제적 강자의 자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본다. 결국 인구 감소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관리해야 할〉 문제라고 진단한다.

특히 저자는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한국과, 독일, 영국, 스웨덴, 프랑스 등의 서유럽, 불가리아와 리투아니아, 폴란드 등의 동유럽, 인도, 이란, 아프리카 등 전 세계 곳곳의 인구 감소 현황과 그로 인한 공간적 불평등과 경제적 쇠퇴 등의 문제를 각종 데이터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그 와중에 점점 〈축소되는 파이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에서 생겨나는 승자와 패자 간 격차 등도 함께 살펴본다. 한마디로 인구 감소는 또 다른 〈불평등〉을 낳는다고 말한다.

 

출판사 서평

 

▣ 〈소멸 직전〉, 모든 것이 축소되고 있는 세계
인구 감소는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부정적 결과를 낳는다. 또한 인구 감소는 경제적 쇠퇴와 빈곤과 분리할 수 없다. 현재 경제 강국인 미국과 유럽연합, 중국도 2050년이 되면 인구가 마이너스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양한 증거로 미뤄볼 때 경제 성장 또한 지속적으로 둔화해 결국 세계 경제가 아예 성장하지 않거나 마이너스 성장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 경제 성장률 하락으로 전체 파이는 물론 도시도, 국가도, 세계도 축소될 것이다. 인류는 지금 소멸 직전의 단계인 〈축소의 시대〉에 접어든 것이다.

▣ 줄어드는 인구는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저자는 줄어드는 인구가 우리의 사회적, 경제적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집중 살펴본다. 인구 감소에서 시작된 주택 수요 감소와 그로 인한 주택 시장의 붕괴, 생산 가능 인구 감소 및 고령 인구 증가로 소비 감소와 생산성 감소, 그로 인한 디플레이션으로 자본 투자 감소, 전 세계 경제 쇠퇴와 글로벌 교역 감소, 인구보다 더 빠르게 감소하는 세수, 고령 인구 부양을 위한 재원 부족 등으로 자본주의 기반이 흔들리게 되면서 우리의 경제적 삶에 어떤 파급효과를 가져올지 살펴본다.

▣ 2070년:전 세계 총인구 감소 시작 / 2050년: 세계 경제 성장률 마이너스로 전환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인구 예측 기관 중 한 곳인 워싱턴 대학교의 건강지표평가연구소(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는 2050년이 되면 65개 국가, 즉 〈전체 국가 중 3분의 1에서 인구 성장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고, 또 다른 5분의 1 국가에서 연간 인구성장률이 0.5%를 밑돌 것이며, 전 세계 총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글로벌 변곡점은 2070년경에 도래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세계의 경제 성장은 2050년에 마이너스로 돌아선다. GDP 연간 성장률 기준으로 장기적인 글로벌 경제의 성장 추세를 살펴보면 1960년대 이후 줄곧 하락세를 보였다. 향후 수십 년 동안 세계 경제 성장은 더 하락하고 결국 감소세로 접어들 가능성이 크다. 경제적 쇠퇴가 가속화되면 지난 수십 년 동안 세계 번영의 기틀이 됐던 글로벌 교역 또한 약화된다.

▣ 인구 감소에서 비롯된 각국의 늘어나는 빈집 현황, 〈주택 과잉 시대〉가 오고 있다
인구가 감소하면 빈집과 버려진 땅이 늘어나 결국 〈부동산 시장이 사실상 기능을 멈추는 수준〉까지 가게 된다. 빈집 수가 현재의 800만 채에서 2040년에는 1,500-2,000만 채 수준으로 늘어날 일본, 2017년 조사를 통해 주택 재고의 약 20%에 달하는 6,500만 채의 집이 비어 있는 것으로 드러난 중국, 최근 수십 년 동안 중산층이 거주하는 도시에서도 빈집이 상당히 늘어나 〈도시의 황무지〉 현상이 나타나는 미국, 제조업의 붕괴로 심각한 인구 감소를 겪으며 2014년에서 2020년 사이에 2만 채에 달하는 빈집을 철거한 디트로이트, 늘어난 빈집 때문에 지난 12년 동안 신규 주거용 건축물 허가가 전체 주택의 0.2%를 살짝 웃도는 라트비아, 2020년에 남아도는 주택 수가 전체 주택의 27%에 달하는 107만 5,000채인 불가리아 등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 - 세계 각국의 인구 감소로 인한 축소 현황--

▣ 일본, 20세기 중후반의 일본은 〈젊은이들의 나라〉였다
일본은 현재 전체 인구의 약 30%가 65세 이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된 나라 중 하나다. 하지만 1950년대 일본은 젊은이들의 나라였다. 1950년부터 1990년까지 총인구는 47%, 생산 가능 인구는 71%가 증가했다. 하지만 2019년이 되자 상황은 역전되어 15세 미만 인구는 총인구의 12%, 65세 이상 인구는 28%에 달했다. 생산 가능 인구 또한 1990년부터 1,000만 명 이상 감소한 반면 고령 인구는 2,100만 명 이상 늘어났다. 오늘날 일본 노동자 7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이다. 현재 일본의 중위 연령인 〈56세〉다.

〈새집〉에 대한 일본인의 강한 선호도, 그로 인해 발생하는 빈집과 〈주택 시장〉 위기
일본에서는 새집에 대한 선호가 거의 절대적이다. 새집을 구매할 수 없다면 아예 집을 구매하지 않는다. 미국에서는 5채의 구옥이 팔릴 때마다 1채의 새집이 거래되고 영국에서는 구옥과 새집의 거래 비율이 10:1인 반면 일본에서는 이 비율이 1:2에 달한다. 즉 새집 2채가 거래될 때 구옥은 1채만 거래된다. 그 결과 일본에서는 신규 주택 물량이 연간 가구수 증가량을 훨씬 웃돈다. 최근 몇 년 동안 〈가구수는 연평균 30만 가구씩 증가했지만 주택은 연평균 90만 채〉씩 지어졌다. 이로 인해 2018년에는 주택이나 아파트 7채 중 1채, 즉 총 820만 채가 비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고, 공식 전망치에 의하면 2040년이 되면 일본의 가구수는 지금보다 340만 가구가 줄어들고 2040년에는 거의 〈3채 중 1채가 빈집〉이 될 수 있다.

▣ 중국, 20-29세 인구가 2억 3,200만 명에서 1억 3,500만 명으로 줄어들 것
중국의 경우 2015년부터 2050년까지 불과 35년 동안 75세 이상 인구는 5,000만 명에서 2억 500만 명으로 늘어나고, 20-64세 인구는 1억 8,000만 명 줄어들고, 20-30대 노동 인구의 비중은 47%에서 42%로 줄어들 것이다. 2015년에는 중국의 〈부양비〉(20-64세 인구로 정의되는 생산 가능 인구와 65세 이상 및 20세 미만 인구를 일컫는 피부양 인구의 비율)가 50명이었지만(피부양 인구 1명당 생산 가능 인구 2.0명), 2050년이 되면 생산 가능 인구 100명당 피부양 인구가 82명(피부양 인구 1명당 생산 가능 인구 〈1.2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50년이 되면 중국의 인구는 현재보다 10% 이상 줄어들 것이고 잘못된 한 자녀 정책의 후유증으로 〈성비 불균형〉이 점점 심각해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 65세 이상 인구의 의료비 지출이 〈GDP의 9%〉로 늘어날 것
미국의 인구 증가율은 2010년대 중반 이후 가파르게 감소했다. “간단히 말해서 미국에서 태어나는 사람은 너무 적고, 사망하는 사람은 너무 많고, 이민자는 충분하지 않다. 미국은 인구통계학적인 위험지대에 들어섰다.” 2021년에 30세 인구는 470만 명이 넘지만 한 살 미만 영아는 겨우 350만 명에 불과하다. 2040년이 되면 대학생의 숫자가 적어도 100만 명, 즉 1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2020년에 5,600만 명이었던 〈65세 이상 인구〉는 2050년이 되면 8,400만 명으로 늘어나 〈전체 인구의 23%를 차지〉하게 될 전망이다. 지금부터 5년이 지나면 노동 인구에 진입하는 코호트 규모가 줄어들기 시작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인구 고령화로 인해 부양비가 증가함에 따라 2014년에 전체 의료비 지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 65세 이상 인구의 의료비 지출이 GDP의 6% 수준에서 2030년이 되면 9%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미국이 2050년에 〈경제적 강자〉가 될 수밖에 없는 〈인구통계학적〉 요인
향후 수십 년 동안 정치적 및 사회적 불안정성과는 별개로 경제적으로 가장 막강한 위치를 가질 것으로 전망되는 나라는 미국이다. 수출이 미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로 중국의 19%, 유럽연합의 47%에 비하면 미국 경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적은 편이다. 그 어떤 나라보다 내수 시장 구매력이 큰 나라이기 때문에 세계화의 물결이 조금씩 약해지는 상황에서 미국의 이 같은 특징은 커다란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미국은 보다 더 유리하다. 독일, 중국과 미국의 출산율을 비교해보면 독일의 출산율은 1960년대 말부터 대체출산율 밑으로 떨어졌고, 중국의 출산율은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급격히 하락한 후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출산율은 대침체기인 2009년이 시작될 때까지 대체출산율 수준이나 그 근처에 머물렀다. 따라서 〈1991년부터 2007년까지 미국의 인구〉는 중국이나 독일보다 훨씬 탄탄한 자연 증가를 보였다. 그 결과 오늘날 미국에서는 중국이나 독일에 비해 〈15-30세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크다. 따라서 향후 10-20년 동안 미국에서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노동 인구 규모는 덜 줄어들고〉 부양비는 좀 더 서서히 올라갈 것이다. 이런 연령 분포 특징 때문에 미국은 이 기간에 명확한 경제적 우위를 갖게 될 것이다.

▣ 한국, 2022년 합계출산율 0.78명, 2024년 0.68명으로 축소 국가의 선두에 서다
2002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의 85개 도시 중 31곳에서 인구가 줄어들었고, 그중 절반에 해당하는 도시에서는 10% 이상 인구가 감소했다. 한국의 인구는 점차 서울 주변으로 집중되고 있다. 즉 서울 자체는 더 이상 성장하지 않고 있지만 주변 도시들은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위성도시 인천의 인구는 1992년부터 100만 명이나 늘어났고 안산, 의정부 같은 소도시의 인구도 2배 늘어났다. 반면 한국의 제2의 도시 부산에서는 같은 기간 40만 명이나 줄었다.

▣ 2050년, 〈축소되는 지구〉에서 성장 없이도 번성하며 살아가기
축소되는 지구에서 살아가려면 지금까지 우리가 익숙하게 여겼던 것과는 다른 사고방식이 필요하다. 인구와 GDP를 비롯한 모든 것이 성장하는 추세가 21세기 인류의 정상 상태로 여겨졌다면 이제는 점점 작아지는 국가나 도시가 성장 실패의 상징이 아니라 합리적인 미래 경로라는 생각부터 받아들여야 한다. 인구 변화로 인한 영향은 해결해야 할 과제일 뿐 결과는 아니다. 이런 변화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는 결국 우리에게 달렸다. 끓는 물 속의 개구리와는 달리 너무 늦기 전에 솥에서 나올 방법을 우리는 찾을 것이다.

 

목차

 

▣ 들어가는 글: 축소되는 지구에서 살아가기

인구 증가가 곧 재앙이 될 거라고 믿었던 시대
축소되는 인구, 축소되는 도시, 축소되는 파이
2050년의 세계는 지금보다 나빠질 것이다

▣ 1장: 고대 로마에서 21세기 대한민국까지, 전 세계 인구 변천사
8세기 만에 110만 명에서 3만 명으로 감소한 로마제국, 1세기 만에 40만 명에서 100만 명으로 증가한 원나라
19세기 유럽과 미국의 산업화, 그로 인한 인구 폭발
20세기 미국의 제조업 붕괴, 도시도 쇠퇴하고 인구도 감소하다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서유럽, 정점을 찍은 인구가 다시 줄어들다
20세기 후반 동유럽, 세계 역사상 전례가 없을 정도로 인구가 감소하다
일본: 2040년 지자체의 절반이 소멸, 한국: 2020년 총인구 감소 시작, 중국: 2100년 인구의 절반이 감소
지금 인구가 감소하는 국가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감소할 것이다

▣ 2장: 2070년 전 세계 인구가 감소하기까지
20세기 중반까지 인구 변천의 3단계
4단계: 인구 감소기로의 전환, 출산율은 한번 하락하면 다시 상승하기 어렵다
1960-70년대: 인구가 폭발한다, 출산율을 낮춰라!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이 출산율 하락을 가져온 것은 아니다
프랑스와 싱가포르의 출산 장려 정책은 과연 효과가 있었을까?
출산율이 감소해도 바로 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20세기 후반의 일본은 〈젊은이들의 나라〉였다
전 세계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변곡점은 2070년이다

▣ 3장: 도시와 경제가 인구를 이동시킨다
국제 이주, 출생 국가를 떠나고 싶게 만드는3 가지 요인
국내 이주, 한 국가 안에서도 인구 이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20년간 20%가 증가한 워싱턴의 인구, 30년간 3배나 증가한 베이징의 인구,
반면 10년간 1%만 증가한 뭄바이의 인구
해외로 이주하는 동유럽 인구, 이제 남성3 명당 여성은 2명뿐
주변부에서 중심지로 이동하는 일본과 러시아 인구
46곳 중 7곳에서만 인구가 유입된 일본
러시아 전체 인구는 줄었지만 모스크바 인구는 40% 증가

▣ 4장: 인구 감소는 주택 수요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인구 감소는 어떤 직접적인 결과를 가져오는가
미국, 왜 도시에 황무지가 생겨나는가
독일, 주택 수요는 감소하는데 공급량은 늘어나다
주택 수요를 결정짓는 건 인구수가 아니라 〈가구수〉다
동유럽, 인구도 감소하고 가구수도 줄어들고 주택 수요도 감소하고
불가리아, 전체 주택의 27%가 빈집
2050년 폴란드 가구수는 200만, 라트비아 가구수는 20만 감소
일본, 2018년에는 7채 중 1채가, 2040년에는 3채 중 1채가 빈집

▣ 5장: 줄어드는 인구는 우리의 경제적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연령 분포가 상향 이동될 때 발생하는 경제적 문제들
노동 인구 감소, 그로 인한 소비 감소, 그로 인한 경제 쇠퇴
인구가 감소하면 모든 투자, 모든 시장이 위축된다
인구가 감소한 곳이라는 낙인
인구 감소는 도시 간에도, 도시 내에서도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세수가 인구보다 빠르게 감소한다
유럽의 도시가 미국의 도시보다 그나마 상황이 나은 이유

▣ 6장: 축소 국가, 미국!
2034년, 미국의 인구는 감소하기 시작한다
미국의 줄어드는 노동 인구
축소되는 미국의 도시들
기후와 물가 때문에 변동을 겪는 인구수
가장 많은 인구 순유출을 기록한 캘리포니아
성장의 편향성, 축소되는 도시에 돌아가는 몫이 줄어든다
축소되는 미래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

▣ 7장: 축소되는 세계가 마주하게 될 3대 도전 과제
기후 변화가 세계 각국에 미치는 영향
기온 상승, 그 영향은 불평등하다
기후 변화로 인한 경제적 승자와 패자
기술 변화가 생산성과 경제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세계를 위협하고 있는 정치적 불안과 지정학적 위험
미국, 유럽연합, 중국은 미래의 강대국 역할을 할 수 있을까
강대국의 공백을 비집고 들어가려는 국가들

 

▣ 8장: 인구든 경제든, 성장은 끝났다!
인구 감소는 실패의 신호인가
인구 감소는 해결해야 하는 것이 아닌 〈관리〉해야 하는 것
2050년, 세계의 경제 성장은 마이너스로 돌아선다
성장은 끝났다, 지역 중심의 경제를 구축해야 한다

▣ 9장 지속 가능한 도시를 위하여
인구가 감소하는 곳이 직면하게 될 다양한 상황들
탄탄한 지역 경제 구축하기
지역 사회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

▣ 10장: 2050년, 축소되는 세계에서 번성하며 살아가기
2050년, 앞으로 다가올 세상
미국의 경제적 우위는 2050년에도 지속된다
축소 도시의 변화를 막는 장애물
축소되는 세계에서 성공으로 가는 길

▣ 맺는말: 성장의 시대가 끝나고 〈축소〉의 시대가 온다

참고문헌

 

 

< 내용 출처 : 교보문고 >

:
Posted by sukji